반응형 개발81 [Linux]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정말 자주 쓰는 명령어입니다. 저는 습관적으로 쓰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ls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ls 명령어ls 명령어는 list의 줄임말로써, 현재 디렉터리나 지정된 경로의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하는 기능을 합니다.test 환경은 아래와 같이 디렉터리 구조가 되어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ls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sls_test/ 경로에서 l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ls -l-l 옵션을 입력하게 되면, 파일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여 목록을 출력합니다. ls -a-a 옵션을 입력하게 되면, 숨김 파일도 포함하여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합니다.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와 비교하면 숨김 파일인 .와 ..이 더 출력되는 것을 볼 수.. 2024. 7. 20. [git] git diff 명령어 수정을 하고 난 뒤 어떤 것을 수정했는지 확인할 때가 있습니다. 그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가 git diff 명령어입니다. git diff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git diff 명령어git diff 명령어는 Git 저장소에서 파일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사용됩니다. git diff간단한 예시를 통해서 git diff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Git 저장소인 diff_test 디렉터리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런 뒤 test.txt에 1을 썼습니다. git diff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무런 출력도 없습니다. 그 이유는 git status를 하게 되면 알 수 있습니다. git status에서 보시다시피 Untracked files에 test.txt가 있기 때문입니다.git .. 2024. 7. 20. [git] git log 명령어 git commit 명령어를 배우고 나면 commit이 생성됩니다. git log 명령어를 통해서 commit을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log 명령어git log 명령어를 통해서 commit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예시test.txt 파일을 만들어서, 1을 쓰고 commit을 만듭니다. 그다음에 2를 쓰고 commit을 만듭니다. 그다음에 3을 쓰고 commit을 만듭니다. 만드는 방법은 여태까지 포스팅을 잘 따라오셨다면 문제없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 몰라서 참고용 명령어를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git add 명령어와 git commit 명령어를 각각 사용하지 않고, git commit 명령어에서 am 옵션을 통해서 한 번에 commi.. 2024. 7. 7. [git] git commit 명령어 git add 명령어 다음으로 배울 명령어는 git commit 명령어입니다. 이전에 작성한 포스팅이 전체적인 윤곽을 잡기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it] git 기본 개념git은 정말 많이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지옥에서 온 관리자라고 불릴 만큼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접근을 하게 된다면 어느 정도 적응이 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t 정의 77monkey.tistory.com git commit 명령어git commit 명령어는 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기록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git add 명령어를 통해서 staging area에 있는 변경사항을 git commit 명령어로 repository에 저장할 수 있게 합니다. git com.. 2024. 6. 30. [git] git add 명령어 git 기본 개념에 대해서 예전에 써둔 글이 있습니다. git init 포스팅을 보고 오셨다면, git 기본 개념 포스팅도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git] git 기본 개념git은 정말 많이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지옥에서 온 관리자라고 불릴 만큼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접근을 하게 된다면 어느 정도 적응이 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git 정의77monkey.tistory.com git add 명령어는 가장 기본적인 git 명령어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git init 명령어 하나 배웠는데, git add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합시다. git add 명령어기본적으로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 생성하거나 삭제하고 repository에 저장하지 않으면 해당.. 2024. 6. 27. [git] git init 명령어 저번 포스팅까지 따라오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gi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쩌면 git init은 개인 또는 toy project를 할 때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이미 구성된 git을 사용하기 때문에 git init을 할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간단하게 파악하고 가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git init 명령어git init은 새로운 git 저장소(repository)를 초기화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저장소는 그럼 무엇일까요? git 저장소(repository)란?프로젝트의 파일과 그 파일들의 변경 이력을 저장하는 곳을 git 저장소(repository)라고 합니다. 즉, git 저장소(repository)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2024. 6. 26. [git] git 설치를 끝냈다면 git 설정 (feat .gitconfig) git 설치를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완료하셨다면, 큰 산을 하나 넘으신 것입니다. 제가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설치 및 환경설정이 제일 어려운 것 같습니다. 혹시나 아직 설치를 진행하시지 않았다면 git 설치 포스팅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it] 리눅스(CentOS, Ubuntu) git 자동/수동 설치git은 정말 많이 쓰이게 되는데 생각보다 친해지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Git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접근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리눅스에 git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77monkey.tistory.com 오늘은 git 설치를 끝낸 다음에 해야할 작업인 git 환경설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생각보다 별 내용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내용을 진행하지 않.. 2024. 6. 24. [git] 리눅스(CentOS, Ubuntu) git 자동/수동 설치 git은 정말 많이 쓰이게 되는데 생각보다 친해지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Git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접근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리눅스에 git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보통 회사에서는 서버 관리자가 있어서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지만, 회사가 아닌 본인의 로컬 pc에서 개발환경을 설치할 때면 git을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git 설치 여부 확인사용하시는 배포판에 따라서 git이 설치가 되어 있을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git이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게 먼저입니다. 사용하시는 리눅스에 상관없이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git --version 저는 WSL2에 VS code를 연결하여 아래와 같이 .. 2024. 6. 23. [C/C++] 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 [C/C++] 포인터(Pointer) 개념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 혹시 기억하시나요? 포인터를 배우면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call by reference와 call by value 개념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코딩을 처음 할 때 가장 헷갈린 부분인데 해당 부분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을 잘 이해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전 지식caller는 함수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하고, callee는 호출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아래 그림과 코드를 잘 보시면서 따라와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편의상 memory를 간략하게 작성했지 실제로 그림과 같이 저장되지는 않습니다.void a_function(int a) { printf("a_function: %p\n.. 2024. 5. 15.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