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명령어는 정말 자주 쓰는 명령어입니다. 저는 습관적으로 쓰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ls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list의 줄임말로써, 현재 디렉터리나 지정된 경로의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하는 기능을 합니다.
test 환경은 아래와 같이 디렉터리 구조가 되어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ls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s
ls_test/ 경로에서 l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ls -l
-l 옵션을 입력하게 되면, 파일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여 목록을 출력합니다.
ls -a
-a 옵션을 입력하게 되면, 숨김 파일도 포함하여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합니다.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와 비교하면 숨김 파일인 .와 ..이 더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s -lh
-l 옵션에 h 옵션을 추가하게 되면,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해 줍니다. ls -l과 비교하면 4096이라고 작성되어 있는 부분을 4.0K로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해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s -lt
-l 옵션에 t 옵션을 추가하게 되면, 파일을 최근 수정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합니다. 아래 결과를 보면, ls.txt 파일이 만들어진 다음에 ls1이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s -R
-R 옵션은 현재 디렉토리와 그 하위 모든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재귀적으로 출력합니다. 아래 결과를 보시면 위에서 설정한 test 환경이 잘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무리
ls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주로 ls -lta 명령어를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명령어를 많이 쓰시나요? 새로 배운 옵션들을 활용해서 개발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wd 명령어 (0) | 2024.09.07 |
---|---|
[Linux] which 명령어 (0) | 2024.09.06 |
[Linux] man 명령어 (0) | 2024.09.06 |
[vim] 줄(line) 번호 설정하기 (0) | 2023.08.22 |
[vim] 커서 라인 하이라이트하기 (cursorline, cursorcolumn) (0) | 202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