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예제와 함께 배우는 if문
python에서의 if문은 다른 언어의 if문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각 언어에 따라서 형태가 조금씩 다릅니다. 오늘은 python의 if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if문
if문은 우리가 흔히 쓰는 조건문 중에 하나입니다. 만약 내가 부자라면 나는 행복할 것 같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그러면 내가 부자라면이 충족되면 나는 행복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코드가 들어왔을 때 해당 변수 또는 구문이 참이면 특정 행동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코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if 조건문:
동작
하지만 조건이 참이 아닐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도 if문을 통해서 다룰 수 있습니다. 코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겠습니다.
if 조건문:
동작1
else:
동작2
그러면 조건문에 따라서 경우의 수가 늘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렇게 하면 됩니다.
if 조건문1:
동작1
elif 조건문2:
동작2
else:
동작3
if와 else 사이에 조건문을 더 추가할 경우에 elif를 통해서 추가를 더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쓰게 된다면 다양한 조건문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if문의 끝에는 :(콜론)이 들어가야 한다는 점입니다. 콜론을 빠트리면 동작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동작에 해당하는 구문을 작성할 때에는 들여쓰기를 해줘야 합니다. 들여쓰기를 해주지 않으면 이 때에도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없습니다.
if문 예시
간단한 if문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이가 20살인 사람이 있습니다. 조건문에 만약 20살 이상이면 청년이다는 문구를 출력해 달라는 예시입니다.
age = 20
if age >= 20:
print("청년입니다.")
실제로 출력해 보면 "청년입니다."라는 문구가 잘 출력이 됩니다.
이번에는 위 예시에서 나이만 바꿔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코드를 보고 한번 고민해 보도록 합시다.
age = 10
if age >= 20:
print("청년입니다.")
else:
print("청소년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번에는 "청소년입니다."를 출력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분기를 통해서 if-elif-else 구문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분기를 예시로 코딩을 해봤습니다. 아래와 같이 1~4분기를 표현했고 그 외의 값이 들어올 경위 else 구문에서 처리하도록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 어떤 값이 출력이 될까요?
참고로 and는 "그리고"를 의미하는 C언어에서의 &&와 같은 의미입니다. 2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경우에만 조건문이 참이 되는 연산자입니다.
month = 3
if month >= 1 and month <= 3:
print("1분기")
elif month >= 4 and month <= 6:
print("2분기")
elif month >= 7 and month <= 9:
print("3분기")
elif month >= 10 and month <= 12:
print("4분기")
else:
print("잘못된 값입니다.")
네, 맞습니다. 1분기를 출력하게 됩니다.
if문 마무리
예시와 함께 if문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았는데,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C언어를 먼저 배웠어서 :를 빼먹거나 들여쓰기를 놓쳐서 빌드 에러가 많이 났었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실수를 줄이셔서 큰 무리 없이 if문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발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bool (0) | 2025.06.22 |
---|---|
[python] 집합(set) (0) | 2025.06.21 |
[python] 딕셔너리(Dictionary) 관련 함수 (0) | 2025.06.20 |
[python] 딕셔너리(Dictionary) 소개 (0) | 2025.05.17 |
[python] 튜플(Tuple) (0) | 202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