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까지 따라오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gi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쩌면 git init은 개인 또는 toy project를 할 때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이미 구성된 git을 사용하기 때문에 git init을 할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간단하게 파악하고 가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git init 명령어git init은 새로운 git 저장소(repository)를 초기화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저장소는 그럼 무엇일까요? git 저장소(repository)란?프로젝트의 파일과 그 파일들의 변경 이력을 저장하는 곳을 git 저장소(repository)라고 합니다. 즉, git 저장소(repository)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git 설치를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완료하셨다면, 큰 산을 하나 넘으신 것입니다. 제가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설치 및 환경설정이 제일 어려운 것 같습니다. 혹시나 아직 설치를 진행하시지 않았다면 git 설치 포스팅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it] 리눅스(CentOS, Ubuntu) git 자동/수동 설치git은 정말 많이 쓰이게 되는데 생각보다 친해지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Git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접근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리눅스에 git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77monkey.tistory.com 오늘은 git 설치를 끝낸 다음에 해야할 작업인 git 환경설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생각보다 별 내용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내용을 진행하지 않..
git은 정말 많이 쓰이게 되는데 생각보다 친해지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Git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접근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리눅스에 git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보통 회사에서는 서버 관리자가 있어서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지만, 회사가 아닌 본인의 로컬 pc에서 개발환경을 설치할 때면 git을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git 설치 여부 확인사용하시는 배포판에 따라서 git이 설치가 되어 있을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git이 설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게 먼저입니다. 사용하시는 리눅스에 상관없이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git --version 저는 WSL2에 VS code를 연결하여 아래와 같이 ..
[C/C++] 포인터(Pointer) 개념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 혹시 기억하시나요? 포인터를 배우면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call by reference와 call by value 개념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코딩을 처음 할 때 가장 헷갈린 부분인데 해당 부분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을 잘 이해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전 지식caller는 함수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하고, callee는 호출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아래 그림과 코드를 잘 보시면서 따라와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편의상 memory를 간략하게 작성했지 실제로 그림과 같이 저장되지는 않습니다.void a_function(int a) { printf("a_function: %p\n..
개발을 하거나 코딩 테스트를 할 때 가장 많이 하는 것은 아마 디버깅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한 번에 딱 원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디버깅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 printf로 출력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rintf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printf 함수printf 함수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int printf(const char * format, ...); printf 함수 형식 지정자printf 함수의 형식 지정자는 아래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flags][width][.precision][length][specifier] flags왼쪽 정렬 등 출력 형태를 지정합니다.flagsdescrip..
C언어에서의 꽃은 포인터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포인터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인터라는 개념을 잘 잡게 된다면 포인터를 이용한 코드들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포인터(Pointer) 개념포인터(Pointer)란?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즉, 포인터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은 메모리 주소이고, 여기에 어떤 방법을 쓰게 되면 가지고 있는 메모리 주소가 가리키고 있는 값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명하면 이해하기 어렵기에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32bit 운영체제에서는 주소 단위가 4 Byte입니다. 64bit 운영체제에서는 주소 단위가 8 Byte입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32bit 운영체제에서의 예시라서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