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1

[python] 문자열 연산 python에서 문자열 연산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python 문자열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연산python에서 문자열 연산은 문자열 연결과 문자열 반복이 있습니다. 문자열 연결(Concatenation)문자열 연결은 말 그대로 서로 다른 문자열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개 이상의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어서 + 연산자를 통해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str1 = "77"str2 = "monkey"str3 = str1 + str2print(str3)코드를 실행하면 77monkey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자열 반복(Repetition)문자열 반복도 말 그대로 문자열을 반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연산을 통해서 원하는 횟수만큼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2024. 9. 17.
[python] 데이터 타입 - 문자열 만들기 python에서 문자열을 만든다는 것은 따옴표를 이용하면 됩니다. 오늘은 데이터 타입 중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생각입니다. 문자열이 무엇인지, 문자열을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문자열문자열이란 문자를 나열한 것으로 문자의 연속적인 시퀀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기본 데이터 타입이며,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묶어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사용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통해서 문자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str1 = '77'str2 = "monkey"print(str1, str2)결과를 출력하면, 77 monkey 문자열이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줄 문자열(''', """) 사용작은따.. 2024. 9. 16.
[Linux] mv 명령어 mv 명령어를 보통 이동할 때 사용된다고 알고 계실 텐데요. 이동뿐만 아니라 이름 변경할 때도 사용된다는 점을 알고 계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mv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v 명령어mv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mv {option} {source_target} {dest_target} test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mv_test 디렉터리를 만든 뒤 a_test, b_test 디렉터리들과  a.txt, b.txt 파일들을 만들었습니다.파일/디렉터리 이동디렉터리를 이동 예시로는 a_test 디렉터리를 b_test 디렉터리 하위로 이동시켜 보겠습니다. mv 명령어에 source_target인 a_test를, dest_target에는.. 2024. 9. 11.
[python] 데이터 타입 - 숫자형 python 데이터 타입 중에서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데이터 타입 - 숫자형python_test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해당 경로에서 test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순으로 점점 더 큰 범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작은 범주에 속한 것으로 type() 함수 결과가 나옵니다. 정수형(integer, int)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입니다. 양수, 음수, 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est.py 파일에서 a라는 변수에 77을 입력하고, b라는 변수에 -7을 대입한 뒤, type() 함수를 통해서 a와 b의 type를 알아보도록 합시다.a = 77b = -7print(type(a), type(b))아래와 같이 입력을 하여 python 파일을 실행시켜 봅시다.$ pyt.. 2024. 9. 10.
[python] ubuntu에서 python3 설치하기 linux에서 python3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는 가정하에 작성하였기 때문에 외부와 통신이 불가능하다면 python 설치 파일을 삼바 등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아서 수동 설치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python3 설치아래와 같이 apt 업데이트를 한 뒤, python3을 설치하면 끝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설치가 완료가 되면 python의 version을 확인해 보고 간단한 test를 진행해 봅니다.보시는 것과 같이 python version을 확인해 보면, 3.10.12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python 프롬프트에 1 + 1을 입력하여 2라는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도입부에서 말씀드렸듯.. 2024. 9. 9.
[Linux] touch 명령어 빈 파일을 만들거나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변경할 때 쓰는 touch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ouch 명령어 touch 명령어는 주로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변경하거나,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빈 파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touch 명령어 사용법touch 명령어 다음에 option과 file_name을 명시하면 touch로 file을 생성 또는 타임스탬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touch {option} {file_name}touch_test 디렉터리를 만든 뒤, touch 명령어를 통해서 touch1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ls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면 touch1 파일이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 상태에서 touch touch1 명령어를 한 번 더 입력하고, l.. 2024. 9. 8.
반응형